자유게시판181 새로운 家 기능 보강 환경 개선 관련 봉사 활동 2024. 6. 7. 무서운 치매증상 최대한 늦춰보자 한번 걸리면 회복이 힘든 치매. 국내 치매 인구가 100만을 넘은 시대를 맞아 치매는 더이상 어르신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젊은층 사이에서도 얼마든지 치매에 대한 불안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뇌는 인체 장기 중 매우 튼튼하여 매일 제대로만 사용한다면 쉽게 쇠퇴하지 않는다. 나이 드는 것은 막을 수 없지만 뇌는 젊게 유지할 수 있다. 뇌가 늙지 않도록 일상에서 간편하게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치매’는 아쉽게도 현대 의학으로써는 완전히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는 없다. 다만 ‘이렇게 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또는 ‘진행을 늦출 수 있다’라는 방법들은 꽤 알려져 있다. 즉 나이가 들면 뇌는 매일매일 위축되고 쇠퇴하지만 생활 습관을 개선함으로써 진행을 막을 수가 있다는 말이다. 뇌는 인간의.. 2024. 5. 31. 65세 이전에 오는 치매 '조발성 치매' 배우 정우성, 손예진 주연의 내 머릿속의 지우개>는 알츠하이머(치매)를 주제로 한 영화다. 치매 진단을 받고 사랑하는 가족의 기억을 잃어가며 혼란스러워하는 아내와, 그를 지켜보는 가족들의 안타까움을 슬프고도 아름답게 그린 영화다. 치매가 나이 든 사람만 겪는 질환이 아니라, 젊은 사람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대중들에게 알린 영화기도 했다.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 조발성 치매에 대해 같이 알아보자.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 조발성 치매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에게서 자주 발병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비교적 젊은 나이에서도 치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를 두고 ‘조발성 치매’라고 부른다. 나이 많은 사람에게 찾아올 가능성이 높지만, 젊다고 하더라도 예외는 아니라는 의미.. 2024. 5. 24. 어르신 건강관리 방법 '올바른 건강체조' 올바른 건강체조 방법 1. 무리가 가지 않게 조심하세요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있잖아요.의욕이 넘쳐서 무리가 갈 정도로 운동을 하게 되면오히려 몸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낮은 강도에 운동을 꾸준히 규칙적으로시작하는 것이 좋아요.2. 한 주에 2~3회 운동하세요한번에 힘들게 하는 것 보다 나에게 맞는수준의 운동을 꾸준하게 하는 것이 놓은데요.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정신적. 육체적인스트레스를 함께 해소하도록 노력해보세요건강체조를 하면 좋은 이유 건강체조는 실버체조, 치매예방 체조라고불리기도 해요. 체조를 하면 12개 뇌신경을자극하기 때문에 뇌신경 체조라고도 하며,뇌신경을 깨우면서 어르신의 몸 전체의 움직임을자극하기 때문에 혈액순환도 촉진하면서근육도 키워주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어요그렇기 때문에 요양원이나 치매.. 2024. 5. 21. 상계동성당데이케어센터 환경개선 사업 자원봉사자 모집 상계동성당데이케어센터에서는 서울가톨릭 사회복지회 지원 노후 사회복지시설 환경개선사업 '새로운 家'사업 수행 시 도움을 주실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 활동 일시 : 2024.5 ~6월- 활동 내용 : 기능보강 사업 수행시 청소 & 집기 이동 도움 등- 신청 방법 : 상계동성당데이케어센터 문의 ( 표민강 과장 / 02-952-2680 ) 2024. 4. 26. 나이가 많더라도 근력운동 해야된다! 근력 운동(웨이트 트레이닝)을 하지 않는 상태로 나이가 들면 근육량과 근력이 자연 감소해 대사 질환이 생길 위험이 커지거나 노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건강과 젊음을 최대한 오래 누리고 노화를 늦추려면 적당한 근육량과 근력을 유지하는 게 필수적이다. 젊을 때부터 근력 운동을 했다면 나이가 들어서도 운동 습관을 지속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고령층은 갑자기 근력 운동에 도전하는 게 어려울 수도 있고 운동 효과가 있을지 의구심이 들 수도 있다. - ‘스포츠 영양과 운동 대사’에 실린 논문 그러나 근력 운동을 시작하고 근육을 키우기에 늦은 나이란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지난해 10월 국제 학술지 ‘스포츠 영양과 운동 대사’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웨이트 트레이닝을 해본 적 없는 80대 이상 고령층도 전문.. 2024. 4. 12. 이전 1 ··· 4 5 6 7 8 9 10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