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177

갑작스런 한파에 빙판길 사고, 고관절 골절 주의 필요 갑작스러운 눈과 한파로 보행로가 얼어붙으면서 방판길에서 넘어지면서 다치는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단순한 타박상과 찰과상으로 치료받은 경우가 많지만, 노년층에게는 가벼운 낙상 사고도 고관절 골절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관절은 몸통과 다리를 연결하는 관절로 엉덩이 관절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고관절 부분에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극심한 통증과 함께 다리를 움직이기 힘들어지고 보행이나 의자에 앉는 것조차 힘들어지는 심각한 상태가 발생한다. 이런 고관절 골절은 주로 노인 층에서 발생하며,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이 20%에 육박할 정도로 심각한 후유증을 동반한다. 고관절은 몸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곳의 뼈들은 강도가 아주 높고, 엉덩이 주변에는 크고 두터운 근육이 .. 2025. 2. 7.
2025년 설날 맞이 행사 명절 음식 만들기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즐거운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2025. 1. 24.
허리통증, 척추질환에 대한 직업환경적 요인 허리통증, 척추질환에 대한 직업환경적 요인 허리통증, 즉 요통은 일생에서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하는 건강문제이다. 요통은 급성 요통과 만성 요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 요통은 돌발적 사고 혹은 삐끗하면서 발생하는 요통을 가리키며, 영상 사진에서 추간판 탈출증 등 요통의 명확한 원인이 확인되지 않을 때 흔히 내리는 진단이다. 반면에 MRI 등에서 추간판탈출증이 원인이 되어 급성 요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요추부 염좌는 심한 통증, 하지저림 등으로 보행이 어려울 정도이므로 침상안정이 필요하며, 추간판탈출증 등이 원인이 된 요통은 하지저림, 마비 등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반면 만성 요통은 퇴행성 추간판탈출증, 척추관이 좁아지는 척추협착증 등이 원인이 되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요통을 지칭한다. 이.. 2025. 1. 17.
고지혈증 원인 및 치료법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고지혈증 예방 및 관리법 고지혈증 원인 및 치료법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고지혈증 예방 및 관리법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이종영 교수  3대 영양소 중 지방에 속하는 지질은 단순히 에너지원 이상으로 생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세포막의 구성성분이자, 호르몬 및 신호전달 물질의 전구체이며, 체온유지 및 장기보호 역할을 하기에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지질은 혈액 내에서 중성지방이나 지단백(lipoprotein)으로 존재하는데, 비중에 따라 콜레스테롤을 조직으로 운반하는 LDL(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과 조직에서 간으로 회수하는 HDL(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로 나뉜다.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은 혈액 내 지질 성분.. 2025. 1. 10.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입동, 겨울철 건강관리 주의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입동, 겨울철 건강관리 주의 - 초겨울 갑작스런 추위에 신체 적응력 떨어져- 날씨가 추운 경우 고령자·어린이·만성질환자 등은 실외활동 자제해야- 노약자는 실외뿐 아니라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도 주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11월 들어 아침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등 일교차가 커지고, 갑작스러운 추위에 신체 적응력이 떨어짐에 따라 한랭질환 등 초겨울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이 해당되며 대처가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고령자와 어린이 등 체온유지 기능이 약한 민감군은 외출 전 체감온도를 확인하고, 만성질환자의 경우 급격한.. 2025. 1. 3.
2024년 신부님께 드리는 크리스마스 편지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