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심혈관 망가뜨리는 병, 이상지질혈증 알아보자.

by 주야간보호 2024. 8. 2.

혈액 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이상이 생긴 이상지질혈증은 혈관에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지만, 증상이 없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검사도 혈액을 통해서 해서 혈압·혈당과 달리 쉽게 수치를 확인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고혈압·당뇨병 보다 훨씬 높다. ‘2022 이상지질혈증 팩트시트에 따르면 20세 이상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45.4%에 달한다(2020년 기준). 성인 절반 가까이가 이상지질혈증을 앓고 있는 셈이다.

 

이상지질혈증, 심혈관 어떻게 망가뜨리나

 

혈중 지질 수치가 많으면 혈관에 스트레스가 많아진다.

지방 알갱이들이 혈관 안으로 파고 들면서 산화스트레스와 염증을 유발하고 서서히 동맥경화증을 만든다. 고혈압처럼 수치가 갑자기 높아진다고 큰일이 나는 것은 아니지만, 지질 수치가 높게 오랜 기간 유지되면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이 생긴다.

이상지질혈증이 있으면 당뇨병 위험도 높아진다. 혈중 지질 수치가 올라간다는 것은 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을 뜻한다. 당 대사도 방해해서 간접적으로 당뇨병에 영향을 준다. 지질, 당 모두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데, 넘치면 문제가 된다. 지질이나 당 모두 에너지원을 빨리 잘 태워야 한다. 지방이나 당이 넘쳐나면 심장과 혈관에 유해작용을 한다. 당뇨병 유병자의 90% 정도에서 이상지질혈증이 동반돼 있다.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것이 문제

 

국내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질환 인지율은 55%에 불과하다.

그래도 과거에 비해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편이다. 1990년대만 해도 병에 대한 개념이 거의 없었고, 10년이 지난 후에도 인지율이 10%도 되지 않았다.

과거와 비교해 보면 현재 이상지질혈증을 인지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졌지만 고혈압, 당뇨병 보다는 인지도가 아직 턱없이 낮다. 특히 30~40대부터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에 이상 소견이 발견되는 남성들이 많은데, 3040 남성들에게 이상지질혈증의 인지율은 지금보다 훨씬 높아야 한다.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LDL콜레스테롤 치료 목표 수치 70 미만으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 발표한 2022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에서는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LDL콜레스테롤 수치를 70 mg/dL 미만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이 훨씬 높은 초고위험군55 mg/dL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특히 심혈관질환 초고위험군의 치료 목표가 기존 70 mg/dL에서 55 mg/dL 로 낮춰진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유럽이나 미국 등 해외 지침 개정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초고위험군은 이미 심혈관에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어, 재발할 위험이 큰 사람들이 대표적이다.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적이 있거나 심장혈관 세 가닥 모두에 죽상경화가 있는 경우가 해당된다. 뇌경색, 말초혈관질환 환자도 새 지침에서는 초고위험군으로 분류했다.

당뇨병은 그 자체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다. 당뇨병 환자 중에서도 이미 진행이 많이 된 환자가 초고위험군이다.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는 '스타틴'

 

LDL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대표 약은 스타틴이다.

스타틴은 1990년 중반, LDL 콜레스테롤을 낮춤으로써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최초의 연구가 나온 이후, 이상지질혈증의 1차 치료제로 사용해왔다. 스타틴의 LDL콜레스테롤 수치 강하 효과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는데, 개인 편차가 있긴 하지만 아토바스타틴(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6~12주 복용하면 LDL 콜레스테롤을 최대 50~60%까지 낮출 수 있다.

스타틴의 대표적인 부작용에는 근육 불편감, 간수치 증가 등이 있다. 스타틴은 여러 종류의 용량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최대 용량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부작용은 매우 드물다. , 근육 불편감이 생겨도 대부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없어지기도 한다. 이런 부작용은 대개 75세 이상의 고령인 경우 혹은 체구가 작거나 신진 대사율이 떨어지는 경우 호소한다.

 

이상지질혈증 개선 습관 가져야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탄수화물이나 기름진 음식이 너무 과하게 먹어서, 어떤 사람은 혈중 지질을 태우는 근육이 너무 약해서, 어떤 사람은 흡연, 음주, 과도한 스트레스 때문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렇듯 너무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원인 파악을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여름의 기침, 여름철 목감기  (0) 2024.08.16
'레지오넬라증'이란?  (0) 2024.08.09
충치 알고 예방하자.  (0) 2024.07.26
쿠싱병이란?!  (0) 2024.07.19
단백질, 부족하지 않게 잘 챙겨먹기  (0) 2024.07.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