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티푸스, 덤불티푸스, 초원열, 잡목열 등으로도 불리는 발열성 질환입니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그 미생물이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합니다.
쯔쯔가무시병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털진드기
쯔쯔가무시병은 국내에서 가장 흔한 리케차 질환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잡목에 서식하는 털진드기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기 때문입니다.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주로 고연령층 여성에서 호발합니다. 9~12월에 벌초나 밤을 따는 등 다양한 이유로 산에 갔다가 털진드기에 물려 감염됩니다. 국내에서 환자 발생 북방 한계선이 연간 8 km 정도의 속도로 북상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지구온난화로 인한 변화로 추정됩니다.
쯔쯔가무시병의 또 다른 이름, 가을철 대표 질병 중 하나 : 왜 하필 가을에 가장 많이 걸릴까?
쯔쯔가무시증은 병원체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발생한다. 연중 발생하지만, 여름철에 산란한 털진드기 알이 초가을부터 본격적으로 부화할 때 동물이나 사람의 체액을 섭취하며 성장하기 때문에 털진드기 유충이 활동하는 시기인 가을 (9~11월)에 매개체와의 접촉을 통해 쯔쯔가무시증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쯔쯔가무시병, 한번 감염된 사람이 또 걸릴 수 있다?없다?
쯔쯔가무시병으로 회복된 환자는 재감염 시 저항력을 나타내어 감염될 확률이 적으나, 다른 혈청형 균에 감염되었을 때는 방어력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리케차 감염증은 한번 감염되면 평생 면역이 생겨 다시 감염되지 않으나, 쯔쯔가무시병의 경우 항원성이 다양하여 한번 감염되더라도 다시 감염될 수 있으며 아직까지는 백신으로 예방할 수 없습니다.
쯔쯔가무시병 증상 : 잠복기부터 시작
보통 1~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급성으로 발생하며, 두통, 발열, 오한, 구토, 발진, 근육통, 기침 등이 나타나고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가피가 형성됩니다. 감염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비교적 용이하게 회복되지만, 단순 감기 몸살로 착각하여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주로 가을철에 위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쯔쯔가무시병 치료 : 증상마다 치료방법이 달라요!
털진드기병의 치료 방법은 증상에 따라 다릅니다. 대부분 항생제를 투여하면 수일 내에 급격하게 호전됩니다. 증상이 매우 심한 경우에는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와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항생제로는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이나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치료만 잘 받으면 합병증 없이 완치됩니다.
쯔쯔가무시병 예방 : 안 물리는 것이 가장 베스트
야외작업 활동 시 작업복 (긴팔, 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착용, 농경지 및 거주지 주변 풀숲 제거, 풀숲에 옷을 벗어 놓지 않고 휴식 시 돗자리 사용, 야외작업 활동 후 작업복 세탁하기, 귀가 즉시 목욕, 샤워를 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가을철 대표 질병 쯔쯔가무시병 물리지 않게 조심하시고 의심되면 즉시 병원으로 가세요!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명 중 4명의 노인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 - 치매 (0) | 2022.09.30 |
---|---|
가족력이 있다면 더 조심! 퇴행성 관절염과 다른 ‘류마티스 관절염’ (0) | 2022.09.23 |
불면증으로 밤을 지새는 분들게 ‘꿀잠’ 자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0) | 2022.09.09 |
운동할 때 음식, 운동 효과를 두 배 올려주는 운동 전후로 먹으면 좋은 음식 (0) | 2022.09.02 |
수박 먹는 법, 여름철 대표 과일 수박 잘 고르는 법 (0) | 2022.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