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이란 머리가 한 편으로 아픈 두통이다. 환자들은 머리가 지끈거린다거나, 맥박이 뛰듯이 쿵쿵거리게 아프다고 한다. 두통이 발생할 때마다 좌우가 달라지기도 하지만, 양쪽이 동시에 아프지는 않다. 통증이 눈 속 깊숙이 느껴지기도 한다. 구역질이나 구토를 보이기도 하며, 일부 환자는 두통 발생 전이나 혹은 두통 시에 빛이나 소리에 예민해 하거나 감각에 대한 공포를 느끼기도 한다. 이는 신경학적 이상으로 나타나며, 전조라고 한다. 편두통에 의한 심한 두통은 사회생활, 학교생활, 가정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여 삶의 질을 저하 시킨다.
두통 발생 후 치료 가능한 적정 시간이 지나면, 약을 먹어도 두통이 나아지지 않는 중추 감작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두통의 개선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돼 급성기에는 통증에 의한 발작이 시작되면 가능한 빨리 약을 복용해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환자는 편두통은 일회성 통증이 아닌, 중추신경계 변화에 의해서 나타나는 만성 재발성 질환으로 완치되는 것이 아니라 조절하는 병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급성기는 약물치료가 우선이다. 통증이 발생하면 최고 강도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서 통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약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급성 약물로는 비특이적 치료제인 소염진통제(Naproxen), 특이적으로 Ergot, Triptan(Imigran, Zomig), 리도카인 정맥주사 등이 있다. 약제의 반복 사용은 치료를 더 어렵게 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심한 정도의 통증에는 신경 차단술(접형구개절 블록, 성상신경절 블록, 후두신경블록, 통증유발점 주사등)이 치료에 효과적이며, 최근에는 난치성 두통 치료에 보톡스를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많은 치료법들이 개발 중에 있다.
또 환자는 생활 속에 존재하는 유발인자를 살피고,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 적절한 수면 등의 생활 관리로 두통을 예방해야 한다. 두통의 빈도 증가는 예방약 복용의 치료 기준이 되며, 한 달에 4~5회를 넘어가는 편두통은 예방약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방약은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고 전조증상을 예방하며 삶의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건강을 지키는 생활 수칙 (0) | 2021.08.27 |
---|---|
여름철 해산물: 건강에 좋은 해산물의 효능과 섭취시 유의할 점 (0) | 2021.08.20 |
탈수가 부르는 질병… 목마르지 않아도 물 마셔야 하는 이유 (0) | 2021.08.06 |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함유한 약을 찾으세요! (0) | 2021.07.30 |
작은 것에도 신경 쓰이는 강박장애 (0) | 2021.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