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노인 건강 좌우하는 근육, 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중요

by 주야간보호 2025. 4. 11.

65세 이상 3998명 대상 조사 결과
여성 44.1%가 단백질 섭취량 부족
남성 노인 또한 4명 중 1명이
평균 필요량 미만의 단백질 섭취

 

 

노인의 영양 섭취 상태가 불량할 경우 의료비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2020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노인 1인당 연간 진료비는 324만원에 달하며, 이는 국민 전체 1인당 연간 진료비인 108만원의 약 세 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2026년까지 노인 인구가 1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본격적인 초고령 사회 진입을 뜻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사회적 의료비 부담이 천문학적으로 커질 수 있다는 심각한 경고다. 급격한 노인 인구 증가는 필연적으로 노화로 인한 질병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고령층의 적절한 영양 섭취 및 건강 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수적이다.

 

◇고령층 건강 좌우하는 근육의 중요성

특히 고령층 건강은 근육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한노인병학회지 발표에 따르면 70세 이전에는 근육량이 10년마다 약 8%씩 감소하지만, 70세 이후에는 무려 15%씩 급감했다. 노년층 근육 감소를 자연적인 노화 현상이라고 방치하면, 근감소증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순히 근육 약화를 넘어 ▲고지혈증 ▲당뇨 ▲관절질환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근감소는 새로운 혈관과 신경 생성 또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에 방해가 되고, 뼈 밀도 유지와 관절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전문가들은 노년에 필요한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과 함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권고한다.

 

◇국내 고령층의 심각한 단백질 섭취 부족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 노년층의 단백질 섭취량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부산대 식품영양학과에서 65세 이상 노인 39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 노인의 경우 절반에 달하는 44.1%가 ‘단백질 섭취량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노인 또한 4명 중 1명이 평균 필요량 미만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었다. 애써 챙겨 먹은 단백질 식품이 장 기능에 부담을 주거나 소화 및 배변이 힘들어진다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단백질은 종류도 많고 품질 차이도 크기 때문에 어떤 원료로 만들었는지, 내 몸에 맞는 제품인지 꼼꼼하게 따져보고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이동연 메디컬 리포트 기자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4. 10 사회적응 산책, 나들이  (0) 2025.04.10
25.3.15 종사자문화체험  (0) 2025.03.17
건강 관련  (0) 2025.02.27
어르신들의 환절기 기침  (0) 2025.02.14
2025년 2월 생신잔치  (0) 2025.02.11

댓글